책갈피 관리: 크롬->사파리 맥 제품을 쓰면서 기기 간 정보 공유가 익숙해졌다. 특히 기기 간에 책갈피나 검색 이력 등이 공유되는 것은 상당히 편리하다. 그 편리함에 익숙해지다보니 이런 부분에 문제가 생기면 꽤 애를 먹게 된다. 게다가 애플의 It just works라는 맥 OS X의 모토에 길들여졌다면 더욱 당황하고 만다. 얼마 전이었다. 아마도 macOS 시에라의 PB를 에어에 설치하면서 발생한 것 같은데, 맥 기기 간의 책갈피가 꼬였는지 책갈피 폴더만 남을 채 그 안의 모든 책갈피들이 사라져버렸다. 아마 애플 서버에서의 단순한 오류로 곧 정상적으로 책갈피가 살아날 것이라 예상했다. 그런데 일주일, 한 달이 되도록 사라진 책갈피는 되돌아오지 않았다. 불행 중 다행인 것은 이전에 사파리와 크롬 간 책갈..
Mac용 Word(2016) 등에서 한자 입력에 문제가 발생한 경우 해결법 증상 Mac용 Word에서 한자를 입력하려고 “⌥(Right)+⏎”를 눌렀다. 그러면 한자 입력창이 팝업 메뉴로 떠야 하는데 커서 앞에 있는 문자를 복사하는 작업이 수행된다. 검색을 해 보니 PowerPoint에서도 이런 현상이 발생한다는 이슈가 있었다. 반면에 Excel에서는 위의 방법으로 한자를 입력할 수 있다고 한다. 해결법에 미루어볼 때 시스템 단축키와 앱의 단축키 간의 충돌로 인한 오류로 보인다. 해결법 Word를 실행한다. [도구]>[키보드 사용자 지정]을 선택한다. ’명령 지정’에서 ’편집’을 선택하고 오른쪽 창에서 EditRedoOrRepeat 선택한다. 그러면 하단의 ’바로 가기 키 지정’의 ‘현재 키’ 목록에서 ..
flickr에서 url을 받아와 이미지를 삽입한다. BBX 설명서 로컬에 있는 이미지인 경우는 어떻게 해야 하나? 우선 flicker에 업로드한 후 flicker의 url을 받아서 위와 같이 쓴다. MarsEdit에서 글을 업로드할 때 Tistory로 이미지를 함께 업로드한다[1]. “upload with post” 기능을 사용하는 것이다. 그러면 블로그에 글을 올릴 때 이미지 파일도 Tistory 서버에 업로드된다. 다만 이 방식으로 이미지를 올릴 경우 웹에서는 정상적으로 이미지가 보이나 MarsEdit의 에디터에서는 이미지가 깨진다. ↩
이 포스팅은 Marked 2와 Marsedit의 사용성을 확인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작업의 순서는 다음과 같다. 1. MarsEdit의 편집기를 이용하여 초고를 작성한다. 이때 문서는 Markdown 문법을 적용하여 작성한다. 2. 이때 Markdown 문법이 적절하게 적용되었는지는 Marked 2의 preview를 이용한다. 3. 문서가 완성되면 Marked 2를 이용하여 Markdown 문서를 HTML 문서로 변환하다. 4. HTML로 변환된 문서를 MarsEdit 편집기로 복붙한 다음 티스토리에 업로드한다. Marked 2에서는 제대로 적용되던 Markdown 문법이 티스토리 웹에서는 정확하게 구현되지 않는 것들이 있었다. 1. 제목 1 - 제목 4까지 크기 변동 2. 글꼴 서식에서 강조 효과. ..
블로깅을 다시 시작한 김에 모바일에서도 블로깅을 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보았다. 가장 단순한 방법은 모바일 브라우저(safari, chrome) 등으로 직접 티스토리 사이트에 접속하여 블로깅을 하는 것이다. 하지만 이걸 찾자고 한 건 아니다. 0. 그러나, 기대는 배신을 낳을 뿐이던가! - 모바일 웹으로 접속해서는 글을 쓸 수는 없다. '너 그 작은 화면애서 블로깅 따위를 한다고 그러니…' - 그래도 하고 싶다면 맨 아래 "PC 화면"을 누르면 된다라고 말하고 싶었으나 이것도 실패!! '하지 말라니까 고집도 세네.' + 이 블로그를 쓰면서 모바일에서 글쓰기룰 지원한다는 2011. 5. 12.자 티스토리 공지(http://notice.tistory.com/m/post/1640)를 발견했다. 하지만 위 스크..
Ⅰ. 테스트1 절차 MarsEdit의 New Post를 연다. 메뉴: Post>Edit HTML Text를 선택한다. MarkDown 문법을 이용하여 초안을 쓴다; 마크다운 전용 에디터-Mou 등을 쓰는 걸 권한다. MarkDown 문서를 HTML 문서로 변환한다. 변환한 HTML 문서를 New Post 창에 복사한다. Send to Blog! 여러 모로 테스트를 해봤으나 편집창에서 Markdown 문법을 직접 써서 문서를 작성할 수는 없었다. MD을 써서 블로깅을 하고 싶다면 결국 MD→HTML의 과정을 피할 수는 없는 듯하다. 만약 MarsEdit에서 바로 MD 문법으로 초안을 작성할 수 있는 방법을 알고 있다면 방명록 등에 알려 주면 고맙겠다. Ⅱ. MarkDown? 1. 마크다운(markdown)..
- Total
- Today
- Yesterday
- testedit
- 하
- 얼불노
- Element
- compareTo()
- markdown
- paragraphs
- tistoy. drafts 4
- String
- notpad
- STYLES
- 스타일
- attribute
- w3s
- html
- headings
- 마틴
- 인용
- 서식
- 까마귀의 향연
- formatting
- 속성
- HTML 5
- HTML5
- html. w3s
- compare()
- c#
- equals()
- tistory
- marsedit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